<p></p><br /><br />국내 1호 백신 접종자, 누가 될지 관심이 높은데요. 팩트맨이 세계 각국의 1호 백신 접종자, 누구였는지 따져봤습니다. <br><br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37개 가입국 중 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는데요. <br> <br>나라별 1호 접종자는 누구였는지 전수 확인해 봤습니다. 1호 접종자가 맞은 백신. 사용 승인이 빨랐던 '화이자' 백신이 가장 많았는데요. <br> <br>OECD 가입국 중 17개국의 1호 백신 접종자. 코로나19 최전선에 있는 의료 종사자였습니다.<br><br><br><br>미국에선 코로나19 대유행 때 환자를 돌본 간호사. <br> <br>멕시코도 중환자실 간호사가 가장 먼저 백신 맞았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고위험군인 '고령층'이 1호 접종자인 나라도 14개 나라나 됐는데요.<br><br><br><br>독일은 101세 할머니. 벨기에는 96세 할아버지가 그 나라에서 처음 백신을 맞았죠.<br><br><br><br>이스라엘과 체코는 총리가 팔을 걷었는데요. 네타냐후 총리와 안드레이 바비시 총리가 백신 접종을 장려하려고 화이자 백신을 가장 먼저 맞았습니다.<br><br><br><br>터키는 보건부 장관이 백신을 먼저 맞았는데, 예방효과에 논란이 인 중국 시노백 백신이었죠. <br> <br>국가마다 1호 백신 접종자 선정에는 상징적 의미가 담겼는데요. <br> <br>우리나라에선 고령자 접종 안전성 논란이 일었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, 누가 가장 먼저 맞을지 정치권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죠. <br> <br>누가 1호 접종자가 되든 국민이 안심하고 맞을 수 있도록 충분한 과학적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게 가장 중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장태민, 박소연 디자이너